복지와 발전, 언뜻 보기에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인 것처럼 보인다.
똑같이 복지국가를 표방했지만 정 반대의 길을 가고 있는 두 사례,
무엇이 베네수엘라와 북유럽 국가의 차이를 만든 것인지 궁금해져서 찾아 보았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로 손꼽히던 베네수엘라는 공공부문을 키우고 분배 정책을 확대하다 유가 폭락으로 복지 재원을 충당할 수 없게 되면서 경제 파탄
반면 북유럽 국가는 적극적인 사회보장제도를 마련한 가운데에도 꾸준한 성장
소득의 절반가량을 세금으로 떼어가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유명
복지 국가인 북유럽과 베네수엘라의 성패를 가르는 요인은?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경제자유도
경제자유도란 시민에게 얼마나 자유로운 경제활동이 보장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규제와 세금부담이 낮은지, 유연한 노동시장, 사유재산권 존중 등
자본주의 국가와 사회주의 국가는 경제자유도가 확연히 차이
지난해 미국 헤리티지 재단이 발표한 경제자유도 지표
* 덴마크 14위
* 스웨덴 19위
* 핀란드 20위
* 노르웨이 26위
* 대한민국 29위(지표상 이미 북유럽 국가보다 더 사회주의적인 국가)
* 이탈리아 80위
* 그리스 106위
* 쿠바 · 베네수엘라 · 북한이 나란히 최하위
북유럽에서는 중앙정부가 자의적으로 시민에게 복지 혜택을 나눠주는 대신 지방정부가 주축이 돼 시민과 소통하며 정책을 결정하고 사회 서비스를 제공
북유럽 국가는 지방 분권을 통해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추구
민간부문에도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일반적으로 북유럽 국가에서 막대한 세금을 거둬 간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소득세에 국한됨.
* 법인세는 20% 초반으로 낮게 유지해 기업의 투자를 유도
* 스웨덴은 투자 활성화를 위해 2013년 법인세를 26.3%에서 22%로 낮춤
* 같은 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의 법인세는 각 25%, 28%, 25.5%였지만 모두 단계적으로 법인세를 인하해 현재 22%, 24%, 20%까지 낮춤
* 스웨덴은 2004년 상속세와 증여세를 폐지했으며 이어 2007년 재산세도 폐지
북유럽 경제의 활력을 유지하는 또 다른 시장주의 요소는 유연한 노동시장
같은 기간 동안 전체 노동자 중 해고와 신규 고용을 통해 교체된 노동자 비율
*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는 각 14.8%, 14%, 9.1%이라는 높은 노동이동률
* EU 평균(4.3%)
* 독일(6.1%)
* 프랑스(4.6%)
*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각 2.6%, 2.1%의 낮은 노동이동률
쉽게 말해 북유럽에서는 '쉬운 해고'가 가능
북유럽 시민에게는 높은 소득세율과 촘촘한 사회보장제도에도 불구하고 평생 자기 계발에 투자할 인센티브
북유럽 25~64세 인구의 교육, 직업훈련 참여 비율이 다른 EU 국가에 비해 월등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의 교육·훈련에 투자하는 성인 비율은 각각 32.8%, 24.5%, 23%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자기 계발에 힘 쏟고 있는 성인 비율은 20명 중 1명 수준)
북유럽과 달리
베네수엘라는 복지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효율성이 아닌 국가 권한을 확대
베네수엘라도 세계에서 4번째로 부유했던(인구당 국내총생산(GDP) 기준) 1950년대까지는 높은 경제자유도(석유 산업은 물론 기업 대부분이 민간이었고 법인세는 12%로 매우 낮았음)
1999년 우고 차베스 대통령 집권 이후 고용, 의료, 주거를 국가가 제공해야 하는 기본권으로 적시하는 새 헌법이 마련되면서 국가 권한 비대
차베스 정부는 석유 회사를 국영화해 그 수익을 통해 방대한 복지 비용을 충당
재원을 석유 생산에만 의존,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 실패
2011년 베네수엘라 수출품 중 95%가 석유 제품
(석유 부국인 노르웨이는 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돈을 재생에너지 등 혁신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
복지 집행을 위해 공무원을 마구잡이로 늘리다 보니 국가 조직은 비대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2014년 베네수엘라 공공부문 종사자는 전체 노동인구 중 29%(일하는 사람 3명 중 1명은 세금으로 먹고 사는 공무원)
* 북유럽 국가도 공무원 비중은 높지만 지방 분권을 통해 복지 집행에 있어 효율성을 제고하기 노력
베네수엘라의 토지개혁(2001년)
차베스 대통령은 토지를 압수해 가난한 자에게 나눔
"토지를 보유한 자에게 고한다. 그 토지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토지는 개인의 것이 아니라 국가의 자산"
가난한 농부에게 목장이었던 토지 일부를 나눠줬지만 물을 끌어올 관개 시설도 없고 대출 지원도 이뤄지지 않음
북유럽 국가는 민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힘쓰고 있음
겉으로 드러난 현상만 보더라도 중앙정부가 주먹구구식으로 복지 혜택을 나눠주는 방법으로는 제대로 된 복지 국가를 만들 수 없음
즉, 편하고 좋은 것만 골라 들여오면 벤치마킹의 함정에 빠질 수 있음
출처 :
'[01]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환율 급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2.08.23 |
---|---|
[재테크]'선물거래'란 무엇인가? (1) | 2022.08.19 |
[책 읽기]RICH DAD_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0) | 2022.08.07 |
[경제공부]석유수출국기구 OPEC (0) | 2022.08.05 |
[재테크]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에 사적연금 포함??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