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5 태영건설, 워크아웃 개시 오늘아침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개시한다는 기사를 접하였다. 기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영건설, 채권단과 워크아웃 최종 합의 - 태영건설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 워크아웃이 채권단의 96.1% 찬성으로 확정되었다. - 채권단은 최대 4개월간 채권행사 유예 후 회사 부채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고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한다. - 이를 위한 태영건설 최종 개선 계획은 다음 4월 11일 제2차 협의회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2. ️태영건설 위기, 워크아웃 신청 - 태영건설은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의 악화로 인해 수조 원대 부동산PF 대출 상환 문제로 위기를 겪고 있다. - 정부와 채권단은 원래의 자구안에 추가 자구안을 요구한 상황이다. - 태영그룹은 계열사 매각 대금을 태영건설에 투입하고, TY홀딩스.. 2024. 1. 12. 기업소개,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는 유전체 분석 분야의 국내 선두 기업으로, 그들의 업적은 현대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노력하는 회사입니다. 회사는 2013년 5월 6일에 설립되어, 2018년 6월 26일에 코스닥에 상장하며, 현재까지도 업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기업개요 EDGC는 주로 다양한 유전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중에서도 비침습 선진 진단 검사, 신생아 유전질환 스크리닝 검사, 안과 질환 전문 유전체 분석 검사, 그리고 진료과별 맞춤형 질병 예측 검사 및 소비자의뢰 유전자 검사 등이 주요 업무 영역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환자의 유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질병 예방과 조기 진단에 기여하며, 개별 환자에게 맞춤형 의학적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혁신.. 2023. 10. 31. [재테크]채권공부 - 복리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3편 : 복리채 1. 정의 복리채(複利債)는 이자가 자동 재투자되어 만기상환시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지급하는 채권이다. 2. 단리채와 복리채 단리채와 복리채는 할인채와 마찬가지로 만기에 투자원금과 이자를 일시 지급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예금의 개념과 동일하다. 단리채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고, 복리채는 일정 기간마다 '원금+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따라서 동일한 이자율의 채권인 경우, 단리채보다 복리채가 수익률이 높다. 3. 복리채의 재투자 개념 복리채의 경우에는 재투자 기간이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복리는 단위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가산하므로, 동일한 이자율의 상품이라도 원리금을 재투자하는 기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같은 표면이율과 같은 만기임에도.. 2022. 11. 2. [재테크]채권공부 - 할인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2편 : 할인채 1. 정의 이자가 붙지는 않지만 반드시 이자 상당액을 미리 액면가격에서 차감, 발행가격이 액면가격(상환가격)보다 낮은 채권이다. 발행가격과 액면가격의 차액을 이자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할인채로는 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산업금융채권을 들 수 있으며 장기신용은행이 발행하는 장기신용채권도 할인채이다. 2. 총 이자를 채권 발행 시에 미리 공제 할인채는 만기까지의 총 이자를 채권 발행 시에 미리 공제하는 방식으로 선지급하고, 만기에 액면금액을 지급받는 채권이다. 예를 들어, 액면금액 10,000원의 채권을 만기 2년 발행 할인율 10%로 할인하여 발행하면 채권 발행가격은 8,000원이 된다. 원래 10,000원짜리 채권인데 미리 할인해서 8,0.. 2022. 11. 1. [재테크]채권공부 - 이표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1편 : 이표채 1. 정의 이자지급일이 되면 발행할 때 약정한 대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이표채는 채권 권면에 표기돼 있는 액면가로 채권을 발행하며 만기에 원금을 상환한다. 이와 달리 채권 권면에 표기된 액면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할인채라고 한다. 2. 이표채는 채권의 가장 흔한 형태 이표채는 만기에 이르기 전까지 채권 금리만큼 정해진 이자를 정기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다. 단순히 만기 때 이자를 수령하는 게 아니라 분기별로 현금흐름이 창출된다는 점도 이표채 채권 투자의 장점이다. 종이 채권을 거래하던 과거에는 채권 권면에 쿠폰과 같은 이표가 붙어있었는데, 이자지급일마다 매번 이 이표를 한 장씩 떼어 이자를 지급받았다고 해서 이표채라 불렸다고 한다. 지금은.. 2022. 1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