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하락3 [재테크]채권공부 - 복리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3편 : 복리채 1. 정의 복리채(複利債)는 이자가 자동 재투자되어 만기상환시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지급하는 채권이다. 2. 단리채와 복리채 단리채와 복리채는 할인채와 마찬가지로 만기에 투자원금과 이자를 일시 지급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예금의 개념과 동일하다. 단리채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고, 복리채는 일정 기간마다 '원금+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따라서 동일한 이자율의 채권인 경우, 단리채보다 복리채가 수익률이 높다. 3. 복리채의 재투자 개념 복리채의 경우에는 재투자 기간이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복리는 단위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가산하므로, 동일한 이자율의 상품이라도 원리금을 재투자하는 기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같은 표면이율과 같은 만기임에도.. 2022. 11. 2. [재테크]채권공부 - 할인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2편 : 할인채 1. 정의 이자가 붙지는 않지만 반드시 이자 상당액을 미리 액면가격에서 차감, 발행가격이 액면가격(상환가격)보다 낮은 채권이다. 발행가격과 액면가격의 차액을 이자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할인채로는 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산업금융채권을 들 수 있으며 장기신용은행이 발행하는 장기신용채권도 할인채이다. 2. 총 이자를 채권 발행 시에 미리 공제 할인채는 만기까지의 총 이자를 채권 발행 시에 미리 공제하는 방식으로 선지급하고, 만기에 액면금액을 지급받는 채권이다. 예를 들어, 액면금액 10,000원의 채권을 만기 2년 발행 할인율 10%로 할인하여 발행하면 채권 발행가격은 8,000원이 된다. 원래 10,000원짜리 채권인데 미리 할인해서 8,0.. 2022. 11. 1. [재테크]채권공부 - 이표채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1편 : 이표채 1. 정의 이자지급일이 되면 발행할 때 약정한 대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이표채는 채권 권면에 표기돼 있는 액면가로 채권을 발행하며 만기에 원금을 상환한다. 이와 달리 채권 권면에 표기된 액면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할인채라고 한다. 2. 이표채는 채권의 가장 흔한 형태 이표채는 만기에 이르기 전까지 채권 금리만큼 정해진 이자를 정기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다. 단순히 만기 때 이자를 수령하는 게 아니라 분기별로 현금흐름이 창출된다는 점도 이표채 채권 투자의 장점이다. 종이 채권을 거래하던 과거에는 채권 권면에 쿠폰과 같은 이표가 붙어있었는데, 이자지급일마다 매번 이 이표를 한 장씩 떼어 이자를 지급받았다고 해서 이표채라 불렸다고 한다. 지금은.. 2022. 1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