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3 2023 경제정책 방향 (부동산 정책 변화 요약) 경매를 공부하면서 다시금 부동산 정책 공부의 중요성이 인식하게 되었다. 매도 및 임대 계획을 세우거나 정확한 수익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소 늦었지만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경제정책방향(2022.12.21) 자료를 확인해 보고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정리해 보았다. 취득세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 다주택자 취득세 최고 12%에서 6%으로 감소 구분 비규제 지역 규제 지역 1주택자 1~3% 1~3% 2주택자 1~3% 8% ⇒ 1~3% 3주택자 8% ⇒ 4% 12% ⇒ 6% 4주택 이상 / 법인 12% ⇒ 6% 12% ⇒ 6%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율 완화 1년 이내 매도시 양도소득세율 감소(70%에서 45%) 1년 이후 매도시 일반과세 적용 구분 현행 개.. 2023. 1. 31.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조정대상지역 전면 해제] 조정대상지역 전면해제에 관련한 보도자료가 나왔다. 신규취득시 '2년 거주' 불필요, 2년 이상 보유시 양도세 비과세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부가 9월 26일부터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지방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하기로 했다. 여기에 파주·동두천·안성·평택·양주 등 수도권 지역도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 되었다.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 세금규제에서 변화가 생긴다. 가령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에 소재한 주택을 양도할 때 2년 이상 거주하면 양도소득세에 대한 비과세(양도가액 12억원 초과분에만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조정대상지역이 해제된 지역에서 주택을 신규 취득하면 2년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2년 이상 보유한다면 해당 주택을 양도할 때 .. 2022. 9. 26.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이해하기 미국 주식의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등과 파생상품의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발생하는 이익(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세금이다. 매도해서 손익을 확정지은 금액이 양도소득세의 대상이 된다. 즉, 매도하지 않으면 양도소득세는 없다 양도소득세는 5월 종합소득신고 시기에 신고하고 해당 과세 연도는 지난 1년 동안이다. 즉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과세날짜는 결제 완료일 기준 주의할 점은 과세기간이 내가 매매한 날이 아니라 결제가 끝난 날짜이다. 해외 결제는 국가별로 결제되는 날이 다르다. 미국은 영업일 기준으로 3일이 걸리니 마지막 매도일은 12월31일이 아니라 주말을 제외한 3일 이전이 된다. 해외 주식은 이익과.. 2022. 7.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