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4 경매로 취득한 오피스텔의 부가세 오피스텔 경매를 공부하는 중 헷갈렸던 부분 중 하나가 부가세 관련이었다. 부가세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 일반사업자, 임대사업자, 매매사업자, 혹은 법인인지 개인인지에 따라 부가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게 여간 헷갈리는게 아니었다. 부가세는 매매가의 10%에 해당하기 때문에 부가세 납부여부에 따라서 수익이 크게 변할 수 있다. 경매로 취득한 오피스텔에 대하여 부가세를 납부해야하는지 찾아보았다. 요약하자면, 경매 자체는 재화의 공급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민사집행법에 따른 경매는 재화 공급이 아니기 때문에 세금계산서 발행대상이 아니다. 즉, 경매로 취득한 오피스텔 등은 부가세 납부 대상이 아니다. 많이 고민했는데 쉽게 해결되었다. 2023. 2. 3. [재테크]종부세 세율 및 공제금액(2022년 세제개편안 살펴보기(4)) 종합부동산세 ---[2022년 세제개편안 p.77]--- II.민생안정 4. 부동산세제 정상화 이번 세법개편안에 따르면 2023년 1월 1일부터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세율이 변경된다. 가장 큰 변화는 3주택이상에 대한 중과세율이 없어지고 과세표준금액으로 구분된 모든 세율구간에서 1주택자를 포함한 모든 경우의 세율이 낮아지게 된다. 사실 위의 표만 보면 2주택 이하의 경우 세율이 0.1~0.3%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엄청난 변화는 아닌 것처럼 보일수 있다. 또한, 이 개정안은 23년도부터 적용된다. 하지만, 이 종합부동산 세율은 과세표준금액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을 생각해봐야한다. 과세표준금액은 흔히 아는 공시가격이 아니라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결정한 값이다. 지난 5월 정부에서 발표한 경제관계장.. 2022. 7. 27. [재테크]2022년 세제개편안 PDF 다운로드 2022년 세제개편안 2022년 7월 21일 기획재정부에서 공개한 보도자료 파일이다. 목차를 살펴 보면 "I-4. 금융시장 활성화"에서 금융투자소득세 도입 2년 유예, 국내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완화,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 "II-1. 서민, 중산층 세부담 완화"에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 주거비 부담 완화, 교육비, 양육비 세제지원 확대,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지원 강화 "II-4. 부동산세제 정상화"에서는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세율 및 세부담 상한 조정 등 종부세법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이후 세금제도의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살짝 살펴보다보니 재미있는 내용들이 있어서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 공유해 본다. 2022. 7. 21. [재테크]건강보험료 개편과 대응 2022년 7월부터 건강보험료 제도에 변화가 있다고 한다. 맞벌이 가족이 훗날 은퇴이후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건강보험료 제도를 공부해보았다. 우선 피부양자 제외 조건은 이전에는 연 소득이 3400만원 이상이어야 피부양자에서 제외하는데, 변경된 기준에서는 2000만원으로 크게 낮아졌다. 여기서 말하는 연 소득에는 사업소득, 금융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임대소득, 게다가 연금소득까지 모두 포함된다고 한다. (단, 다행인지 연금소득에서 사적연금은 제외라고 한다.) 재산이 있는 경우는 과세표준 3.6억원+연 1000만원 소득인 경우 또는 과세표준 9억원 초과인 경우 피부양자에서 제외된다. 즉, 퇴직 이후에 부부가 각각 주택을 소유하고 있고 각각의 주택이 과세표준 3.6억원(공시지가 6억원)을 넘으면 한 명의 .. 2022. 7.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