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경제

[재테크]채권공부 - 이표채

by 시심리도학 2022. 11. 1.

[채권공부]

채권의 종류 제 1편 : 이표채



1. 정의

 

이자지급일이 되면 발행할 때 약정한 대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이표채는 채권 권면에 표기돼 있는 액면가로 채권을 발행하며 만기에 원금을 상환한다. 이와 달리 채권 권면에 표기된 액면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할인채라고 한다.


2. 이표채는 채권의 가장 흔한 형태

 

이표채는 만기에 이르기 전까지 채권 금리만큼 정해진 이자를 정기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다.
단순히 만기 때 이자를 수령하는 게 아니라 분기별로 현금흐름이 창출된다는 점도 이표채 채권 투자의 장점이다.

종이 채권을 거래하던 과거에는 채권 권면에 쿠폰과 같은 이표가 붙어있었는데, 이자지급일마다 매번 이 이표를 한 장씩 떼어 이자를 지급받았다고 해서 이표채라 불렸다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 전자거래 방식이기에, 채권에 붙은 이표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표면이율'은 이표채에서 이자 지급의 기준이 되는 이율로서 연단위로 표시된다.
예를들어, 표면이율이 10%인 3개월 이표채의 경우 1년간 총 10%의 이자를 3개월마다 2.5%씩 4번에 나눠서 지급받게 된다는 뜻이다.

 

3. 선급 이표채와 후급 이표채

 

이표채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보면, 정해진 이자를 지급하는 시기에 따라서 선급 이표채와, 후급 이표채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후급 이표채로 발행된다.
이표채의 이자 지급 단위는 1개월, 3개월, 6개월 등이 있다.

4. 이표채의 예

 

대표적인 이표채로는 국고채, 산업금융채권, 한국전력채권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회사채도 이표채로 발행되고 있다. 만기가 3년 이하인 국고채는 3개월 단위 이표채로, 만기가 5년 이상인 국고채는 6개월 단위 이표채로 발행된다.
이표채는 만기 이전에도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제공받은 유동자금을 통해 재투자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